경력 기술서 초안 및 내년에 머할까..?

2018년 ~ 2019년 6월, 팀 프로젝트를 통해 예술 작가들의 작품과 소비자를 연결하는 플랫폼을 구축하였습니다.

 

이 플랫폼은 단순한 작품 전시 사이트를 넘어, 데이터 분석 및 고객 맞춤형 추천 시스템을 통해 소비자와 작가 간의 효과적인 매칭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MariaDB를 활용하여 대용량 데이터를 체계적으로 관리하였고, Java와 Python(Pandas, Numpy)을 기반으로 데이터 분석 알고리즘을 개발하였습니다. 특히 Python Pandas 라이브러리를 이용해 고객 선호 데이터를 분석하고, Numpy를 통해 통계적 연산과 머신러닝 기반의 추천 알고리즘을 구현하였습니다. 또한, React.js를 활용하여 직관적이고 반응형 UI를 설계, 월간 3,500명 이상의 트래픽과 75% 이상의 사용자 매칭 성공률을 달성하였습니다. 이 프로젝트는 데이터 분석과 웹 개발의 통합적인 경험을 제공하였으며, 기획부터 구현, 테스트, 배포까지의 모든 단계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며 팀워크와 기술적 전문성을 강화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2019년부터 2021년까지는 LG CNS에서 다양한 IT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실무 경험을 축적하였습니다. 주요 프로젝트 중 하나는 그룹웨어 시스템의 기능 개발 및 유지 보수로, 기업의 복잡한 업무 프로세스를 분석하고 이를 시스템으로 구현하는 역량을 키웠습니다. Java와 Spring Framework를 사용해 그룹웨어 시스템의 안정성과 확장성을 개선하였고, Oracle 데이터베이스와 Redis 캐시 시스템을 통합하여 데이터 처리 속도를 최적화하였습니다. 특히 Redis를 활용한 캐싱 전략으로 데이터 조회 성능을 크게 향상시켜 대규모 사용자 요청을 안정적으로 처리할 수 있었습니다. 이외에도 전산실 출입 관리, 안전관리 시스템, 투심(투자 심사) 시스템 개선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Spring Boot 기반의 모듈화된 아키텍처 설계를 통해 코드의 유지 보수성을 개선하고, 고객 요구사항에 대한 신속한 대응 능력을 키웠습니다. 이러한 경험은 실질적인 문제 해결 능력을 강화하는 데 크게 기여하였습니다.

 

2022년부터 2024년까지는 구매 시스템 개선 프로젝트에 참여하며 기술적 깊이를 더욱 넓혔습니다. 기존 시스템의 비즈니스 로직을 분석하여 최적화하였으며, Java와 Spring Framework를 사용하여 데이터 전환 작업, 외부 연동 API 변경, 시스템 안정화 작업을 수행하였습니다. 데이터 전환 과정에서는 ETL(Extract, Transform, Load) 프로세스를 활용해 대규모 데이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였고, RESTful API 설계를 도입하여 외부 시스템과의 통신 효율성을 높였습니다. 특히 이 프로젝트에서는 Kubernetes와 Docker를 활용한 배포 환경을 구축하며 DevOps 기술 역량을 강화하였습니다. Kubernetes의 클러스터 관리 기능을 활용해 컨테이너화된 애플리케이션을 배포 및 모니터링하였고, Docker를 사용해 컨테이너 이미지를 생성 및 관리하며 CI/CD(Continuous Integration/Continuous Deployment) 파이프라인의 중요성을 실무적으로 경험하였습니다.

 

2024년 3월부터 6월까지는 클라우드 기술 학습에 집중하며 VMware 기반의 Kubernetes 환경에서 MSA(Microservices Architecture) 애플리케이션을 배포하는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이 과정에서 Minikube와 Podman을 활용하여 로컬 Kubernetes 클러스터를 구성하고, YAML 파일 기반의 구성 파일을 작성하며 MSA 환경에서의 애플리케이션 관리 역량을 키웠습니다. 또한, CoreDNS 스크립트를 이용해 DNS 관리 작업을 자동화하며 클라우드 네이티브 기술의 심도 있는 이해를 쌓았습니다. ==> 공백기 경험. 

 

2024년 6월 이후에는 네트워크 기술 학습에 매진하며 Cisco 기반의 고급 네트워크 기술을 익혔습니다. 특히 VXLAN(Virtual Extensible LAN) 기술을 통해 데이터센터 네트워크의 확장성을 높이고, MPLS VPN(Multiprotocol Label Switching Virtual Private Network)을 통해 안전하고 효율적인 네트워크 설계를 실현하였습니다. BGP(Border Gateway Protocol)와 OSPF(Open Shortest Path First)를 활용하여 데이터 경로 최적화 및 안정적인 라우팅을 구현하는 실습을 진행하였습니다. VXLAN은 VLAN의 한계를 극복하며 대규모 네트워크 환경에서 유연한 네트워크 구성을 가능하게 하고, MPLS VPN은 라벨 스위칭 기반의 고속 데이터 전송을 지원하여 네트워크 트래픽 관리에 기여하였습니다.

보안 측면에서는 RACL/PACL/VACL/PVLAN을 활용한 접근 제어, FTD(Firepower Threat Defense)와 FMC(Firepower Management Center)를 통한 위협 관리, 그리고 SNMP/NTP/Syslog를 이용한 시스템 보안 강화를 학습하였습니다. IPSec VPN과 SSL VPN을 통해 안전한 원격 접속 환경을 구성하였으며, 네트워크 트래픽 암호화와 인증 기술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쌓았습니다.마지막으로, AWS VPC 구성 및 Hybrid Cloud VPN 연동 실습을 통해 클라우드 환경에서의 네트워크 설계를 경험. 또한, Wireshark를 활용한 패킷 분석을 통해 네트워크 트래픽 흐름을 분석하고 문제를 식별 및 해결하는 능력을 키웠습니다.

 

내년은? rhcsa, aws, ccie.. 도전

취업은? 대기업? 네트워크 골파? .. SI회사..? (컨설턴트, PMO, 네트워크, 인프라?)

... 

 

생각정리하면 .. 

 

1. 가치 객관화 필요 - 내가 보는 나, 남이 보는 나의 가치, 시장에서의 나의 가치의 평가
2. 기업 공고에 대한 분석이 필요. 단순히 경험이 중요한지, 해당 지식과 역량이 많이 필요한지

   - 지리적 위치나 어떤 기업까지 괜찮은지도 생각해보자.. 

3. 경험 늘리기 

- 홈 서버 구축

- 홈 서버 - 클라우드 Hybrid 로 설계 

- AWS 자격증 공부

- CCIE 자격증 공부 

- 스크립트로 자동화 해보기 

 

그 동안 자소서의 문제점 .. 
1. 지원하게 된 동기와 입사 후 어떤 업무를 하고 싶은지 ?

 - 지원하게 된 회사의 솔루션, 어떤 사업을 하고 있는지에 대해 이해를 해야한다
 - 다른 회사명으로 교체했을때도 이상이 없는 자소서는 X 
 - 질문한 물음에 대해 답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 어떤 업무를 하고 싶은지에 대해서 상세하게 적어야 한다. 

2. 본인만의 핵심 역량(장점)?
 - 네트워크 직무에 대해 내가 가진 장점을 상세하게 적어야 한다. 
 - 예를 들어 트러블 슈팅을 잘한다. 전체적인 네트워크 토폴로지 설계를 잘 할 수 있다
    그리고 거기에 대한 예시 프로젝트를 작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나는 네트워크 엔지니어가 아닌, LG CNS의 경험들을 주로 적은듯.. 
자기소개서가 분할되어야 한다.

각 500 - 1000자 

직무 지원동기 및 입사 후 포부
역량적 강점 및 노력
가치관 (장점, 직업관, 인생에 대한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