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VPN 정의
Public 네트워크에서 사설 네트워크를 구현 하는 기술
보안 , 프라이버시, 원격접근, 지역제한 우회
VPN은 터널링과 암호화를 통해 동작한다.
2. VPN 종류
Site-to-Site VPN : 기업의 여러 지사를 연결하는 용도로 사용
Remote Access VPN : 재택근무
Clinet Vased VPN : 특정 응용 프로그램을 통해 VPN 서버에 연결
클라우드 VPN : 클라우드 서비스 제공자가 제공하는 VPN
3. GRE over IPsec VPN 구현시 필요한 구성 요소
1) IPsec 보안 프로토콜
- AE
- ESP
2) 암호화 알고리즘
- DES
- 3DES
- AES
- IDEA
3) 인증 알고리즘 (해시 알고리즘)
- MD5 (보안 취약)
- SHA
4) 대칭키 알고리즘
4. GRE over IPsec VPN 구현 순서
1) 인터페이스 활성화 및 기본 라우팅
2) GRE 터널 구성
3) IPSec 구성을 통한 GRE 터널링 트래픽의 암호화
3-1) IKE Phase 정책 설정
3-2) Pre-Shared 키 구성
4) Crypto-map 설정
ACL 설정 및 인터페이스에 Crypto-map 적용
GUI 환경의 VPN 설치 (CCP) 프로그램이 라우터에 설치 되어 있다.
Http 를 통해서 라우터의 VPN 설정이 가능.
저가 라인 장비들을 GUI 설정만 가능 할 수 있다.
(ip http server)
[검증]
터널링에 대한 검증 (Static 설정 후 )
crypto ipsec sa 결과로 peer가 맺어져 있고 active 동작 (encaps / decaps ) 이 확인되어야 한다.
5. CA 인증서 기반 GRE over IPsec VPN 구현 순서 (IPsec VPN을 강화)
CA 인증서는 디지털 인증서의 한 유형이며 , 안정한 통신을 보장하기 위해서 사용된다.
서버 인증 / 데이터 암호화 / 무결성 보장에 사용된다.
라우터를 통해 CA 인증서를 발급하고 , 이 인증서를 통해 GRE over IPsec VPN 구성
'CCIE & CCNA' 카테고리의 다른 글
[ICT 폴리텍 생활 (이경태 교수님)] 직업 훈련 과정 1일차 (9/20) (0) | 2024.08.23 |
---|---|
[ICT 폴리텍 생활] 직업 훈련 과정 36일차 (8/7) (0) | 2024.08.08 |
[ICT 폴리텍 생활] 직업 훈련 과정 32일차 (8/2) (0) | 2024.08.02 |
[ICT 폴리텍 생활] 직업 훈련 과정 31일차 (8/1) (0) | 2024.08.01 |
명령어 (0) | 2024.07.04 |